Home 백준 6064번 카잉 달력
Post
Cancel

백준 6064번 카잉 달력

정보

문제 바로가기 [클릭]

난이도: Silver1

관련 개념: #수학 #정수론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조건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
1 초256 MB

문제

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이 세상의 시초에 해당하는 첫 번째 해를 <1:1>로 표현하고, 두 번째 해를 <2:2>로 표현하였다. 의 다음 해를 표현한 것을 <x':y'>이라고 하자. 만일 x < M 이면 x' = x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x' = 1이다. 같은 방식으로 만일 y < N이면 y' = y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y' = 1이다. 은 그들 달력의 마지막 해로서, 이 해에 세상의 종말이 도래한다는 예언이 전해 온다.

예를 들어, M = 10 이고 N = 12라고 하자. 첫 번째 해는 <1:1>로 표현되고, 11번째 해는 <1:11>로 표현된다. <3:1>은 13번째 해를 나타내고, <10:12>는 마지막인 60번째 해를 나타낸다.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질 때, 이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라고 하면 는 몇 번째 해를 나타내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각 줄에는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진다. (1 ≤ M, N ≤ 40,000, 1 ≤ x ≤ M, 1 ≤ y ≤ N) 여기서 은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를 나타낸다.


출력

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정수 k를 한 줄에 출력한다. 여기서 k는 가 k번째 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에 의해 표현되는 해가 없다면, 즉, 가 유효하지 않은 표현이면, -1을 출력한다.


예제 입출력 1

입력

1
2
3
4
3
10 12 3 9
10 12 7 2
13 11 5 6

출력

1
2
3
33
-1
83

코드1(파이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import math
import sys

t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t):
    m, n, x, y = tuple(map(int, sys.stdin.readline().split()))

    lcm = n * m // math.gcd(n, m)

    x_set = set([i*m + x for i in range(lcm // m)])
    y_set = set([i*n + y for i in range(lcm // n)])
    intersection = x_set.intersection(y_set)
    
    if intersection:
        print(intersection.pop())
    else:
        print(-1)


코드2(파이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import math
import sys

t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t):
    m, n, x, y = tuple(map(int, sys.stdin.readline().split()))
    result = -1
    # y = n인 경우 대비
    y %= n
    # x 자리에 위치하는 몫들의 최대치
    x_quotient_max = n // math.gcd(n, m)
    
    # 몫(q) * m + x = 원래 정수
    # 원래 정수 % n = y
    for q in range(x_quotient_max):
        # 후보가 존재한다면
        if (q*m + x) % n == y:
            result = q*m + x
            break
    
    print(result)


특이사항

  • 코드1(45,564KB, 4,952ms)
    • 입력받은 x, y를 나머지로 갖는 모든 숫자를 리스트에 저장
    • 각 리스트에 공통 원소 탐색
  • 코드2(32,976KB, 1,692ms)
    • 입력받은 x를 나머지로 갖는 숫자 중 최댓값 탐색
    • 몫을 반복하면서 입력받은 y를 나머지로 갖는 숫자 탐색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를 활용하면 획기적인 메모리 및 수행시간 절약 가능
  • 우수 코드1(https://www.acmicpc.net/source/37435910, 32976KB, 756ms)과의 비교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import sys
      import math
      input = sys.stdin.readline
      
      TEST_CASE = int(input())
      
      
      def solveCal():
          M, N, x, y = map(int, input().split())
          lcm = int(M / math.gcd(M, N) * N)
      
          if x == M:
              x = 0
          if y == N:
              y = 0
      
          for i in range(x, lcm, M):
              if i == 0:
                  continue
              if i % N == y:
                  return i
          return -1
      
      
      def solution():
          answer = []
          for _ in range(TEST_CASE):
              answer.append(str(solveCal()))
          print("\n".join(answer))
      
      
      solution()
          
      
    • 코드2의 방식과 유사하지만, 반복문의 형태를 보다 단순화
  • 우수 코드2(https://www.acmicpc.net/source/36946527, 29200KB, 68ms)와의 비교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import sys
      # extended euclidean algorithm
      def EEA(a,b):
          s1,s2,t1,t2 = 1, 0, 0, 1
          while b:
              q = a//b
              a,b = b,a-q*b
              s1,s2 = s2,s1-q*s2
              t1,t2 = t2,t1-q*t2
          return a,s1,t1
      
      t= int(sys.stdin.readline().rstrip("\n"))
      for _ in range(t):
          n,m,x,y = list(map(int,sys.stdin.readline().rstrip("\n").split(" ")))
          if m>n:
              x,y = y,x
              n,m = m,n
          g,a,b = EEA(n,m)
          lcm = n*m//g
          d = x-y
          if d%g !=0:
              print("-1")
          else:
              K=x-d//g*a*n
              print((K-1)%lcm+1)
      
      
    • 확장된 유클리드 호제법과 중국인 나머지 정리를 활용한 사례
    • 수학 공부가 더 필요해보임…

참고문헌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백준 9019번 DSLR

백준 14500번 테트로미노

Comments powered by Disqus.